속닥속닥 송인영의 문학이야기 (34)금강송(정수자)
상태바
속닥속닥 송인영의 문학이야기 (34)금강송(정수자)
  • 제주경제일보
  • 승인 2020.12.26 04: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강송

군말이나 수사 따위 버린 지 오래인 듯

뼛속까지 곧게 섰는 서슬 푸른 직립들

하늘의 깊이를 잴 뿐 곁을 두지 않는다

꽃다발 같은 것은 너럭바위나 받는 것

눈꽃 그 가벼움의 무거움을 안 뒤부터

설봉의 흰 이마들과 오직 깊게 마주설 뿐

조락 이후 충천하는 개골의 결기 같은

팔을 다 잘라낸 후 건져 올린 골법 같은

붉은 저! 금강 직필들! 허공이 움찔 솟는다

                               (정수자, ‘금강송’ 전문)

 

송인영 시인.
송인영 시인.

해마다 그렇지만 근래 한라산은 말 그대로 설국입니다. 나무도 바위도 계곡도 봉우리도 모두가 다 새하얀. 그런데 이 풍경 속에서도 그 색을 버리지 않고 선 한 나무가 있으니 이름 하여 ‘금강송’입니다. ‘꽃다발/ 같은 것은 너럭바위나 받는 것//눈꽃 그 가벼움의/무거움을 안 뒤부터//설봉의 흰 이마들과/ 오직 깊게 마주설 뿐’. 그렇습니다. 세상의 환호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다는 것, 곧 그것은 그것이 가져다주는 ‘영예’라는 것이, 비록 한낮 꽃이라고는 하지만 눈꽃, 그것이 의미하는 그 가벼움의 무게감이 어떤 것인지를 알기에, 오늘도 저 저잣거리인 세상을 뒤로 한 채 설봉의 저 흰 이마들과 마주하고 서 있을 수 있는 것이 아닐는지요.

난데없는 감염병으로 인해 여러모로 썰렁하고 쓸쓸한 세밑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사람들이 더 그리워지는 요즘입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상황인데도 감사한 것은 설상가상 이렇듯 어렵고 추운 시기에 서로 각각 떨어져 그동안의 삶들을 다시 되돌아보고 또 그 삶들을 성찰하다 보면 어느 날 문득 우리 모두는 저 시편에서 이야기하느 것처럼 한 그루씩의 ‘금강송’으로 다시 거듭나게 되는 것은 아닐는지요. 그래서 신은 봄을 허락하기 전에 반드시 먼저 겨울을 허락하는 것이겠지요!          (시인 송인영)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