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토양 자료공유로 제주 화산·지질 연구 활성화 기대
상태바
고토양 자료공유로 제주 화산·지질 연구 활성화 기대
  • 김동훈 기자
  • 승인 2022.11.21 23: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유산본부, 5년 여간 수집한 제주도 전역 200여 개소 고토양 자료 공개
고토양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제주도 화산·지질 연구 활성화를 위해 제주도 전역에서 수집한 고토양 200여 개소 현황자료를 제주도 누리집(https://www.jeju.go.kr/open/open/edu.htm)을 통해 공개한다.

이번에 공개되는 자료는 제주도 하천, 계곡 등에서 발견된 고토양들의 위치(붙임 1)와 사진(붙임 3)으로 지난 2017년부터 지속 추진해 온 ‘제주도 자연자원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야외조사를 통해 자료를 확보했다.

도내 도처에 분포하는 고토양은 연대측정(방사성탄소연대측정, 광여기루미네선스 연대측정법 등)을 통해 고토양 위를 덮고 있는 용암의 분출시기를 밝히는데 활용돼 왔다.

그동안 한라산연구부는 용암층 혹은 화산재 아래에 분포하는 고토양의 연대를 측정해 거문오름(약 8000년), 송악산(약 3800년) 등 제주 주요 오름의 연대를 밝혀왔다.

또한 제주 곶자왈이 1만 년 이내의 매우 젊은 용암류 위에 형성됐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고토양 연대측정을 통해 얻어진 주요 오름의 연대는 송악산(약 3800년), 거문오름(<약 8000년), 다랑쉬(< 9400년), 물오름(1만 5000년), 좌보미(<1만 6000년), 바리메(< 1만 7000년), 모구리오름(2만 5000년), 볼레오름(<2만 8000년), 물영아리(< 3만년), 우도(< 7만 년) 등이다.

또 곶자왈 연대는 선흘곶자왈(< 1만 년), 애월곶자왈(< 약1만 년), 구좌·성산곶자왈(< 9400년), 교래곶자왈(< 8000년), 한경곶자왈(< 6000년), 안덕곶자왈( < 5000년) 등이다.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는 앞으로도 제주도의 연대분석 결과, 암석 및 그 성분 자료도 순차적으로 공개·공유해 나갈 계획이다.

영천 중류지역에 분출에 의한 송이층도
영천 중류지역에 노출된 고토양층. 고토양이 퇴적되는 시기에 또다른 화산 분출에 의한 송이층도 분포한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한라산연구부 안웅산 박사는 “제주의 고토양은 화산분출 시기 즉, 오름의 형성시기를 밝혀내는데 활용될 뿐만 아니라, 퇴적물이 퇴적될 당시의 제주도 고 기후를 연구하는 물질로도 이용 가능하다”며 “쪼개짐이 많은 화산암에 비해 물이 잘 통과하지 않는 특징을 갖는 고토양 층은 제주도 지하수의 흐름을 규제하는 지하 매질로도 연구할 가치가 있는 지질자원”이라고 평가했다.

신창훈 한라산연구부장은 “이번 고토양 자료의 공유가 제주 화산에 대한 국내외 연구자의 관심과 연구를 증대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더 나아가 연구자들 간 교류협력 확대로 오름은 물론, 제주 화산섬 전체의 형성과정이 보다 구체적으로 밝혀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고토양: 지질학에서 퇴적물(충적층 또는 풍성퇴적층) 또는 화산암(용암 혹은 화산재) 아래에 묻혀 있는 옛 토양으로, 제주도에 분포하는 고토양은 대체로 화산활동 휴지기에 형성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