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영상, 공간정보·빅데이터 구축시 다양한 분야 유용"
상태바
"위성영상, 공간정보·빅데이터 구축시 다양한 분야 유용"
  • 김동훈 기자
  • 승인 2023.02.03 02: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부·제주도 위성 정보 활용 국토관리방안 수립 위한 세미나
-오성익 국토부 공간정보진흥과장 세미나 앞서 언론 브리핑
오성익 국토교통부 공간정보진흥과장이 2일 오후 제주도에서 개최된 위성정보 활용 국토관리방안 세미나에 앞서 언론브리핑을 했다. 사진은 김녕해수욕장 위성 영상이다. 

국토교통부와 제주도가 위성정보 활용 국토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세미나가 2일 오후 2시 제주도청 삼다홀에서 개최됐다.

이에 앞서 2일 오후 1시 오성익 국토부 공간정보진흥과장은 언론 브리핑을 통해 세미나 개최에 대한 국토부의 입장을 설명하면서 “오늘 세미나는 제주도의 비전인 우주경제 혁신 거점 조성이란 비전과 관련한 거대한 도약에 있어서 작은 첫 걸음이 될 것”이라 했다.

오 과장은 “국토부는 뉴스페이스를 주목하고 우주산업 기술을 지방에 확산할 필요가 있음에 따라 전국 주요 지자체에서 지역별로 특성화된 주제로 위성정보 활용 국토관리 세미나를 2월부터 6월까지 매월 개최할 계획으로 그 첫 세미나를 제주도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오 과장은 “우주 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전 세계적으로 우주 산업의 투자가 증가하고 있고, 우주 산업이 공공에서 민간산업 부문으로 전환되는 추세로 이러한 흐름에는 정보활용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 했다.

국토부는 2045년 우주경제 글로벌 강국 실현을 목표로 제4차 우주개발 진흥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우주 산업의 육성과 위성정보 활용 활성화를 위해서 집중 투자할 계획임을 발표했다고 했다.

오 과장은 “위성영상은 넓은 지역의 고정밀 정보를 한번에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공간 정보와 빅데이터를 구축할 경우 산림자원, 수자원, 생존시설, 항만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했다.

특히 “도시분야는 건물, 도로 등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돼 있고 특정 시점에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지만 매번 현장을 방문한 조사 관리 등에 있어서 애로가 있다”면서 “이때 고해상도 위성 영상과 도시기반 공간 정보를 접목하면 건축물의 관리, 도시 양극화 등 시계열 분석을 통해서 도시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잇고 도시 녹지 관리 등 여러 가지 편리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오 과장은 “2021년 3월 22일 국토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위성센터를 통해서 영상이 제공되고 있다”면서 한라산, 파란색 비취빛을 띤 김녕해수욕장, 아름다운 해안선 등 제주도의 위성영상을 보여줬다.

국토부는 3차원 공간정보를 신속하게 구축하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국토위성 1호의 쌍둥이 위성인 2호도 2024년에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위성 영상
위성 영상

또 정부는 제주도의 도시관리 모니터링 등을 위해 국토위성 영상을 제공하고 있고, 위성 데이터 활용 제주형 공공서비스 발굴 TF에 적극 참여하여 과제 발굴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태풍과 같은 재난피해가 발생할 경우 위성 영상분석을 통해서 피해규모를 추정하고 피해복구 및 보상금 지원등을 위한 시스템 구축 등에 위성영상 관ㅌ련 업무에 국토위성 영상도 적극 제공하겠다고 했다.

오 과장은 백브리핑을 통해 2022년 11월에 구좌읍 덕천리 국가위성운영센터가 개소됐고, 연차적으로 위성들의 관제 운영과 관련해서 제주센터로 이관될 예정이며, 이와 관련 국토위성의 영상은 2023년 6월부터 제주센터에서 관제할 계획이라 했다.

오 과장은 국가위성운영센터는 향후 우리나라서 운영하는 그리고 발사될 위성들의 기본적인 운영 관제의 중심이 되고, 때문에 23년 6월로 예정된 국토위성의 영상수신 관제뿐 아니라 이후의 것도 연차적으로 제주센터에서 맡게된다고 밝혔다. 따라서 대전의 센터는 백업 기능을 하게 된다고 했다.

오 과장은 “제주의 우주비전중 산업생태계 조성과 관련해서 중앙정부와의 밀접한 협력이 필요하다”면서 “뉴스페이스 시대가 민간중심으로 전환된다는게 사실이지만 스페이스 X조차도 미국 나사의 도움을 받았던 것이 사실인 만큼 우리의 경우도 인공위성 사업이 민간중심으로 가는 게 앞으로의 흐름이겠지만 리스크 관리 등 중앙정부의 역할도 여전히 크고, 그런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